隶 @ uny.kr

문자 隶
부수 (0)
획수 8
사각호마 5013.2
파자 파자
소리 이 대 
소리(外) 0699.030:lì

TAI DAI I
OYOBU
74323.010:dài,yì,dì,lì
lì(73)
dai6
뜻(영어) subservient; servant; KangXi radical 171
비슷한 자 隶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96B6
HTML &#96B6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X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1363쪽 우상단에서 22번째 글자]
【唐韻】徒耐切
【集韻】待戴切,𠀤音代。
【說文】及也。从又,从尾省。又,持尾者,从後及之也。
【玉篇】亦作逮。
【集韻】或作𨽿。 又
【廣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羊至切
【正韻】以智切,𠀤音肄。義同。 又
【廣韻】本也。 又
【集韻】神至切,音示。《方言》餘也,秦晉之閒曰隶。○按今《揚子·方言》本作𨽹。 又
【集韻】徒對切,音隊。从後及之也。 又一曰與也。 又大計切。音第。狐子也。○按《爾雅·釋獸》貍子𧳙。《釋文》音曳,《集韻》作隶,音大計切,未知何據。 又蕩亥切,音殆。與迨𨽿逮同。(隸)
【唐韻】【集韻】𠀤郞計切,音麗。
【說文】附著也。
【後漢·馮異傳】部分諸將,各有配隸。
【註】隸,屬也。又
【孔融傳】皆隸名而已。 又
【史記·酷吏傳】關東吏隸郡國出入關者。
【註】隸,閱也。 又
【廣韻】僕隸。
【集韻】賤稱也。
【左傳·隱五年】皁隸之事。
【註】士臣皁,皁臣輿,輿臣隸。又
【桓二年】士有隸子弟。
【註】士𤰞,自以其子弟爲僕隸。
【周禮·夏官·方相氏】帥百隸而時儺。
【儀禮·旣夕】隸人涅厠。
【註】隸人,罪人也。今之徒役作者也。
【晉語】其猶隸農也。
【註】隸,今之徒也。 又官名。
【周禮·夏官】隸僕掌五寢之掃除糞洒之事。又
【秋官】司隸掌五隸之灋:罪隸、蠻隸、閩隸、夷隸、貉隸。又
【前漢·百官公卿表】司隸校尉周官。 又
【後漢·律曆志】隸首作數。
【註】博物記曰:隸首,黃帝之臣。一說隸首,善算者也。 又
【正字通】姓也。漢隸延之。 又隸書。
【晉書·衞恆傳】秦旣用篆,奏事繁多,篆字難成,卽令隸人佐書,曰隸字,漢因行之。隸書者,篆之捷也。○按隸書,諸說不一。或云秦後旴陽變小篆爲隸書。或言程邈獄中所造。韻會辨之頗當,蓋古之隸,卽今之眞書行書也。周興嗣千字文,杜藁鍾隸。蕭子雲云:論草隸法,逸少不及元常,子敬不及逸少。任玠五體序云:隸則羲、獻、鍾、庾、歐、虞、顏、柳。孫過庭書譜曰:元常精于隸,伯英工于草,逸少兼之,此皆以眞行書爲隸也。歐陽修集古錄,始誤以八分書爲隸。書苑云:蔡琰言,割程隸八分,取二分,割李篆二分,取八分,於是爲八分書。任玠亦云:八分酌乎篆隸之閒,則隸之非八分可知。唐六典云:校書郞正字,所掌字體有五,一古文,二大篆,皆不用。三小篆,印璽旗旛用之。四八分,石經𥓓刻用之。五隸書,典籍表奏公私文疏用之。據此,益可信隸卽今之楷書。《正字通》云:東魏大覺寺𥓓題曰:隸書,今楷字也。亦其一証。 又
【集韻】力智切,音荔。附也。 又
【類篇】力結切,音捩。僕也。 
【說文】本作𨾀。
【廣韻】俗作𥛬。
【韻會】【正韻】作𨽾,非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