量 @ uny.kr

문자 量
부수 (5)
획수 12
사각호마 6010.4
파자 파자파자
소리 량 양 (짧게)
헤아릴 량
소리(外) 0707.050:liáng 0710.060:liàng
liɑng liɑ̀ng
liàng
RYOU
HAKARU
63683.020:liáng,liàng
liàng(1265) liang(433) liáng(208)
loeng4 loeng6
뜻(영어) measure, quantity, capacity
비슷한 자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91CF
HTML &#91CF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5급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1292쪽 우상단에서 5번째 글자]
〔古文〕𨤦𨤥
【廣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力讓切
【正韻】力仗切,𠀤音亮。
【集韻】斗斛曰量。
【書·舜典】協時月正日,同律度量衡。
【釋文】量,力尚切,斗斛也。
【左傳·昭三年】齊舊四量,豆區釜鍾。
【禮·明堂位】頒度量,而天下大服。
【註】量,謂豆、區、斗、斛、筐、筥所容受。
【前漢·律歷志】量者,龠、合、升、斗、斛也。 又
【正韻】度量,能容之謂量。
【蜀志·黃權傳】魏文帝察其有局量。
【程子遺書】或問:量可學乎。曰:可。學進則識進,識進則量進,人量隨識長,亦有識高而量不長者,識未至也。 又限也。
【禮·禮運】月以爲量。
【疏】量,猶分限也。 又
【禮·曲禮】凡祭宗廟之禮幣曰量幣。
【釋文】量,音亮。又音良。 又審也。
【禮·少儀】事君者量而后入,不入而后量。
【釋文】量,音亮。 又酒量。
【論語】惟酒無量不及亂。
【東都事略】太祖謂王審琦曰:天必賜卿酒量。 又
【唐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呂張切
【正韻】龍張切,𠀤音良。
【說文】稱輕重也。
【馮衍·遂志賦】弃衡石而意量兮。 又
【廣韻】度多少也。
【增韻】槪量多寡也。
【唐書·武后紀】補闕連車載,拾遺平斗量。 又度長短也。
【周禮·夏官】量人。
【註】量,猶度也。謂以丈尺度地。
【前漢·枚乗傳】銖銖而稱之,至石必差。寸寸而度之,至丈必過。石稱丈量,徑而寡失。 又
【韻會】商量。 又
【博雅】量,度也。
【左傳·隱十一年】度德而處之,量力而行之。
【釋文】量,音良。
【韓愈詩】蚍蜉撼大樹,可笑不自量。○按古文亮、良二音通,今讀度量,器量爲亮,讀丈量,商量爲良,二音遂分。 又
【山海經】犬封國有文馬,縞身朱𩯡,目若黃金,名曰吉量。
【註】郭璞曰:一作良。 又
【字彙補】與緉同。雙履也。
【世說】阮孚曰:未知能著幾量屐。
◎考證:〔【禮·檀弓】凡祭宗廟之禮幣曰量幣。〕 謹照原書檀弓改曲禮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