調 @ uny.kr

문자 調 調
부수 (8)
획수 15
사각호마 0762.0
파자 파자파자
소리 조 (짧게)
고를 조
소리(外) điều
*dhèu dheu
diào
CHOU
TOTONOU SHIRABERU YAWARAGU
63989.060:tiáo,diào,zhōu
diào(390) tiáo(213)
deu6 diu6 tiu4
뜻(영어) transfer, move, change; tune
비슷한 자 調 調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8ABF
HTML &#8ABF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5급Ⅱ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1166쪽 우상단에서 8번째 글자]
【唐韻】徒遼切
【集韻】【韻會】【正韻】田聊切,𠀤音迢。
【說文】和也。
【玉篇】和合也。
【詩·小雅】弓矢旣調。
【禮·月令】仲夏調竽笙竾簧。 又
【韻會】揉伏也。
【史記·秦本紀】大費佐舜調馴鳥獸。 又
【正字通】嘲笑也。
【世說】王丞相每調之。 又
【廣雅】欺也,啁也,譀也,出買也。 又
【莊子·齊物論】而獨不見之調調之刁刁乎。
【註】樹上枝葉搖動之形。 又官名。
【周禮·地官】調人掌司萬民之難而諧和之。 又姓。
【廣韻】周禮有調人,其後氏焉。 又
【廣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𠀤張流切,音輈。朝也。
【詩·周南】未見君子,惄如調飢。
【毛傳】調,朝也。又作輈。 又
【廣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𠀤徒弔切,迢去聲。
【玉篇】選調也。
【史記·秦始皇紀】下調郡縣,轉輸菽粟芻藁。
【註】下令調斂也。
【前漢·食貨志】馬數萬匹,卒掌者不足,乃調旁近縣。
【師古註】謂選發之也。又
【張釋之傳】十年不得調。
【師古註】選也。又
【袁盎傳】盎以數直諫,不得久居中,調爲隴西都尉。
【師古註】遷也。 又
【玉篇】度也。
【增韻】算也。
【前漢·鼂錯傳】調立城邑毋下千家。
【師古註】謂算度之也。 又
【玉篇】求也。 又
【類篇】賦也。
【正字通】民賦曰調,晉平吳制戸調。見《晉書》。又唐賦,人之制有四,二曰調。見《舊唐書》。 又
【廣韻】韻調也。
【增韻】音調,樂律也。才調,韻致也。 又
【韻會】詩也。 又叶從紅切,音同。
【屈原·離騷】勉升降以上下兮,求矩矱之所同。湯禹儼而求合兮,摰咎繇而能調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