詘 @ uny.kr

문자 詘
부수 (5)
획수 12
사각호마 0267.7
파자 파자파자
소리 굴 (짧게)
말막힐 굴
내칠 출
소리(外)
KUTSU KUCHI CHUTSU CHUCHI TOTSU
TSUMARU
63958.060:qū,chù
wat1 zeot1
뜻(영어) bend, stoop, crouch; to yield
비슷한 자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8A58
HTML &#8A58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특급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1155쪽 우상단에서 13번째 글자]
【唐韻】區勿切
【集韻】【韻會】【正韻】曲勿切,𠀤音屈。
【說文】詰詘也。一曰屈襞。
【禮·喪大記】凡𨻰衣不詘。
【註】謂舒而不卷也。
【楚辭·九思】思哽饐兮詰詘。 又
【博雅】曲也,折也。
【玉篇】枉曲也。
【禮·樂記】習其俯仰詘伸。
【史記·管晏列傳】君子詘於不知己,而信於知己者。
【前漢·孫寶傳】道不可詘,身詘何傷。 又
【廣韻】辭塞也。
【戰國策】於是魏王聽此言也,甚詘。 又
【類篇】充詘,喜失節貌。
【禮·儒行】不充詘于富貴。 又姓。漢有詘強。見
【印藪】。 又
【韻會】通作屈。
【荀子·勸學篇】若挈裘領,詘五指而頓之。
【註】詘與屈同。 又
【集韻】【正韻】𠀤渠勿切,音掘。與充詘義同。 又絕止貌。
【禮·聘義】叩之,其聲淸𧻗以長,其終詘然樂也。 又
【正韻】盡也。
【前漢·司馬相如傳】徼𧮭受詘。
【師古註】言獸有力盡者,受而有之。 又
【集韻】敕律切,音怵。與黜同。
【戰國策】彼公仲者,秦勢能詘之。
【註】詘,貶下也。 又
【集韻】通作絀。
【禮·射義】進爵絀地。
【註】《內則》以前作絀,《明堂位》以後作詘。 又
【集韻】或作出。
【左傳·襄三十年】譆譆出出。
【周禮·秋官·庭氏鄭註】引作詘詘。劉昌宗音出。本亦作出。 又
【集韻】奴骨切,嫩入聲。與訥同。詳訥字註。 又
【說文】或作誳。
【長箋】作誳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