瞀 @ uny.kr

문자 瞀
부수 (9)
획수 14
사각호마 1860.4
파자 파자파자
소리 무 
소리(外) 0770.130:mào
mào
BOU MO MU BAKU MAKU
42504.030:mào,wú
mau6
뜻(영어) to look at closely; nearsighted; dim; indistinct vision
비슷한 자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7780
HTML Ṥ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X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813쪽 우상단에서 9번째 글자]
【唐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【正韻】𠀤莫𠋫切,音茂。
【說文】低目謹視也。 又
【玉篇】目不明貌。
【晉書·天文志】眼瞀精絕,故蒼蒼也。
【揚子·太𤣥經】視也見,而晦也瞀。
【亢倉子·全道篇】夫瞀視者,以黊爲赤。
【註】黊同黃。
【韓愈·南山詩】淚目苦矇瞀。 又亂也。
【北史·房豹傳】是非瞀亂。
【楚辭·九章】中悶瞀之忳忳。
【註】煩亂也。 又不敢正視貌。
【荀子·非十二子篇】子弟之容瞀瞀然。 又被髮也。
【淮南子·道應訓】去其瞀而載之木。
【註】木騖鳥冠也。 又蟲名。
【埤雅】蜹似蚊而小。一名瞀芮。
【列子·天瑞篇】瞀芮生乎腐蠸。 又姓。
【左傳】莒有瞀胡。 又通作貿。
【禮·檀弓】貿貿然來。
【註】貿貿,不明貌。與瞀同。 又通作霿。
【廣韻】䐨瞀。
【集韻】作䐨霿,鄙吝心不明也。
【正韻】無識也。
【荀子·儒效篇】愚陋傋瞀。
【註】傋音寇,愚也。瞀,無知也。
【前漢·五行志】作傋霿。 又通作愗。
【楚辭·九辯】直怐愗以自苦。
【註】愗音茂,愚貌。與瞀通。互詳䐨字註。 又
【集韻】【韻會】𠀤迷浮切,音謀。義同。 又
【王逸·九思】復顧兮彭瞀,叶上憂下投。本作務。務光,古介士也。一作牟光。古務瞀牟𠀤通。 又
【廣韻】莫角切。
【集韻】墨角切,𠀤尨入聲。目不明也。 又
【集韻】【韻會】𠀤亡遇切,音務。義同。 又俯視也。
【黃帝素問】民病肩臂瞀重。
【註】低目俯首曰瞀。
【靈樞經】交兩手而瞀爲臂厥。
【註】瞀,目垂貌。 又
【集韻】微夫切,務平聲。
【前漢·地理志】雊瞀,縣名,屬上谷郡。
【註】孟康音句無。 又
【字彙補】莫到切,音冒。視眩易也。
【莊子·徐無鬼】予適有瞀病。 又
【埤雅】莫卜切,音木。雀目夕昏,人有至夕昏不見物者,謂之雀瞀。 
【說文】本作瞀。
【集韻】或作𥈆。瞀字原刻从攴,不从攵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