毛 @ uny.kr

문자 毛
부수 (0)
획수 4
사각호마 2071.4
파자 파자파자파자
소리 모 (짧게)
터럭 모
소리(外) 0766.020:máo
mao
*mɑu
máo
MOU BOU
KE
31994.010:máo,mào
máo(503) mao(33)
mou4
뜻(영어) hair, fur, feathers; coarse
비슷한 자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6BDB
HTML &#6BDB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4급Ⅱ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591쪽 우상단에서 22번째 글자]
【唐韻】莫袍切
【集韻】【韻會】謨袍切,𠀤音旄。
【說文】眉髮之屬,及獸毛也。
【釋名】毛,貌也,冒也,在表所以別形貌,自覆冒也。
【詩·小雅】不屬于毛。
【註】毛者,體骨之餘氣末屬也。
【周禮·秋官】《司儀》王燕,則諸侯毛。
【鄭註】謂以須髮坐也。
【齊語】班序顚毛,以爲民紀。
【註】顚,頂也。毛,髮也。次列頂髮之白黑,使長幼有等。 又髮班白曰二毛。
【禮·檀弓】古之征伐者,不獲二毛。 又獸爲毛蟲。
【周禮·地官】以土會之灋,辨五地之物生。一曰山林,其動物宜毛物。
【註】毛物,貂、狐、貒、貉之屬,縟毛者也。
【禮·月令】孟秋之月,其蟲毛。又
【樂記】羽者嫗伏,毛者孕鬻。
【正義曰】羽,鳥也。毛,獸也。 又犧牲純色曰毛。
【史記·三王世家】魯有白牡、騂剛之牲,羣公不毛。
【註】何休曰:不毛,不純毛也。 又草也。
【左傳·隱三年】㵎溪沼沚之毛。又
【昭七年】食土之毛,誰非君臣。 又桑麻五穀之屬皆曰毛。
【周禮·地官·載師】凡宅不毛者,有里布。
【註】鄭司農云:謂不種桑麻也。
【公羊傳·宣十二年】錫之不毛之地。
【註】不毛者,磽确不生五穀。又
【崔豹·古今注】地以名山爲輔,石爲之骨,川爲之脈,草木爲之毛。 又去毛曰毛。
【詩·魯頌】毛炰胾羹。
【註】毛炰,爛去其毛而炰之。 又柔毛,羊也。
【禮·曲禮】羊曰柔毛。 又莎草曰地毛。見
【廣雅】。又扻毛,鹽草也。見
【雷斆·炮炙序】。 又
【高麗方言】謂苧曰毛,苧布曰毛施背,見
【雞林類事】。又閩南人謂毛曰膜。見
【井觀瑣言】。又梵言欽跋羅,此云毛。顩缽羅,《西域記》云織細羊毛。褐賴縭,《西域記》云織野獸毛。 又國名。又姓。
【左傳·僖二十四年】魯衞毛耼,文之昭也。
【廣韻】周武王弟毛公,後以爲氏。本居鉅鹿,避讎滎陽。漢毛亨治《詩》,作訓詁傳以授從子萇,時稱亨爲大毛公,萇爲小毛公。 又竹名。
【顧愷之·竹譜】南嶺有毛竹。
【劉美之·續竹譜】毛竹,生武夷山。
【李商隱詩】武夷洞裏毛生竹。 又與髦通。
【儀禮·士喪禮】馬不齊髦。
【註】今文髦爲毛。 亦作㲝。
【周禮·天官·司裘註】中秋鳥獸㲝毨。 亦作旄。
【史記·夏本紀】羽旄齒革。 又
【集韻】莫報切,音帽。擇也。鄭康成說或从手作㧌。通作芼。 又蒙晡切,音模。
【佩觿集】河朔謂無曰毛。
【後漢·馮衍傳】饑者毛食。
【註】太子賢曰:案《衍集》作無,今俗語猶然者,豈古語亦通乎。當讀如模。 
【集韻】又作𦒷。
◎考證:〔【史記·夏本紀】羽𣬵齒革。〕 謹照原文𣬵改旄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