底 @ uny.kr

문자 底
부수 广(5)
획수 8
사각호마 0024.2
파자 파자파자
소리 저 (길게)
밑 저:
소리(外) 0224.020:de 0231.130:dǐ
để
*děi

TEI
SOKO NANZO
20878.040:dǐ,de
dǐ(788)
dai2
뜻(영어) bottom, underneath, underside
비슷한 자 底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5E95
HTML &#5E95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4급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344쪽 우상단에서 6번째 글자]
【唐韻】都禮切
【集韻】【韻會】【正韻】典禮切,𠀤音邸。
【說文】山居也。 又
【說文】下也。又
【玉篇】止也。
【爾雅·釋詁】底,待也。
【註】止也。
【疏】底者,在物之下,是亦止也。 又
【玉篇】滯也。
【左傳·昭元年】勿使有所壅閉湫底。
【註】底,滯也。
【晉語】戾久將底,底箸滯淫。 又
【增韻】器臀也。
【詩·大雅】于橐于囊。
【箋】無底曰橐。有底曰囊。 又文書槀曰底。
【春明退朝錄】公家文書稿,中書謂之草,樞密院謂之底,三司謂之檢。祕府有梁朝宣底二卷,卽貞明中崇政院書也。 又凡供役使者曰小底。
【晉公談錄】皇城使劉承規,在太祖朝爲黃門小底。 又設疑之辭。
【匡謬正俗】俗謂何物爲底。此本言何等物,後省何,直云等物耳。應璩詩云:用等謂才學,言用何等才學也。去何言等,其言已舊,今人不詳根本,乃作底字,非也。唐人詩多用底字。
【杜甫·寄王陶二少尹詩】文章差底病。
【韓愈·曲江寄白舍人詩】有底忙時不肯來。 又與厎通。
【韻會】厎,通作底。
【詩·小雅】靡所底止。
【傳】底,至也。 又與砥通。
【前漢·枚乗傳】磨礱底厲。
【註】底,柔石也。 又叶都木切,音啄。
【郭璞·東海外大壑讚】寫溢洞穴,暵昏龍燭。爰有天壑,號爲無底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