嗛 @ uny.kr

문자 嗛
부수 (10)
획수 13
사각호마 6803.7
파자 파자파자
소리 겸 
소리(外) 0915.010:qiǎn
khem
qiǎn
KEN KAN GAN KEHU
HUKUMU URAMU HERIKUDARU
10670.110:xián,qiǎn,qiàn,qiān,qiè
haam4 him1 hip3
뜻(영어) pouch; hold; content
비슷한 자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55DB
HTML &#55DB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X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203쪽 우상단에서 5번째 글자]
【廣韻】【集韻】【韻會】【正韻】𠀤苦蕈切,音歉。
【廣韻】猿藏食處。
【爾雅·釋獸】寓鼠曰嗛。
【註】頰裏貯食處。寓謂獮猴之類,寄寓木上。 又
【正韻】與歉同。
【穀梁傳·襄二十四年】一穀不升謂之嗛。
【註】嗛,不足貌。
【釋文】去簟反。
【呂氏春秋】天固有衰嗛廢伏。 又
【晉語】嗛嗛之德。
【註】嗛嗛,猶小小也。口玷切。或作謙。 又
【集韻】下忝切,音鼸。鳥獸頰貯食。 又
【唐韻】戸監切
【集韻】乎監切,𠀤音銜。
【說文】口有所銜也。
【史記·大宛傳】昆莫生棄于野,鳥嗛肉蜚其上。
【註】嗛音銜。
【集韻】或作咁。 又與銜同,猶恨也。
【史記·外戚世家】景帝恚心嗛之,而未發也。
【註】嗛音銜,漢書作銜。 又
【管子·弟子職】唯嗛之視,同嗛以齒。
【註】食盡曰嗛。齒,類也,謂食盡者,則以其所盡之類而進。劉績曰:齒,次序也,如菜肉同盡則先益菜,後益肉也。 又
【集韻】【正韻】𠀤苦兼切。與謙同。
【前漢·藝文志】易之嗛嗛。
【註】師古曰:嗛與謙同。又
【尹翁歸傳】溫良嗛退。
【莊子·齊物論】大廉不嗛。
【註】至足者,物之去來,非我也,故無所容其嗛盈。 又
【集韻】詰叶切,音愜。本作慊,足也。
【莊子·盜跖篇】口嗛于芻豢醪醴之味。
【荀子·非十二子篇】嗛然而終日不言。
【戰國策】膳啗之嗛于口。
【註】嗛,愜也。
【又】齊桓公夜半不嗛。
【註】嗛,快也,苦劫反。一云言不善食,苦簟反。
【史記·文帝紀】天下人民,未有嗛志。
【註】不滿之意。
【漢書】作㥦。
◎考證:〔【穀梁傳·襄二十四年】穀不升謂之嗛。〕 謹照原文穀字上增一字。〔【戰國策】膳喢之嗛于口。〕 謹照原文喢改啗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