可 @ uny.kr

문자 可
부수 (2)
획수 5
사각호마 1062.0
파자 파자파자
소리 가 (길게)
옳을 가:
소리(外) 0640.020:kě 0643.020:kè
khả
*kɑ̌

KA KOKU
YOI BESHI BAKARI
10567.070:kě,gē,kè
kě(6054)
hak1 ho2
뜻(영어) may, can, -able; possibly
비슷한 자
글씨체 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서체
유니코드 U+53EF
HTML &#53EF;
분류 한중일 통합 한자 (기본)
시험 급수 5급 (한국어문회)
외부 사전 다음 사전, 네이버 사전
[강희자전 172쪽 우상단에서 12번째 글자]
【唐韻】肯我切
【集韻】【韻會】【正韻】口我切,𠀤音坷。
【說文】肯也。
【廣韻】許可也。
【韻會】可者,否之對。
【書·堯典】囂訟可乎。
【文中子·事君篇】達人哉山濤也,多可而少怪。 又僅可,未足之辭。
【論語】子曰:可也𥳑。 又
【禮·內則】擇于諸母與可者。
【註】諸母,衆妾也,可者,傅御之屬也。 又所也。
【禮·中庸】體物而不可遺。
【註】體猶生也,可猶所也。不有所遺,言萬物無不以鬼神之氣生也。 又姓。
【正字通】唐諫議大夫可中正,宋紹興進士可懋。 又
【字彙補】苦格切,音克。
【魏書·吐谷渾傳】可汗,此非復人事。
【唐書·突厥傳】可汗猶單于也,妻曰可敦。 又叶孔五切,音苦。
【韓愈·元和聖德詩】負鄙爲難,縱則不可。出師征之,其衆十旅。 又叶口箇切,軻去聲。
【魏文帝·寡婦賦】伏枕兮不寐,逮平明兮起坐。愁百端兮猥來,心鬱鬱兮無可。 又
【集韻】歌古作可。註詳欠部十畫。又讀作何。
【石鼓文】其魚隹可。
【風雅廣逸註】隹可讀作惟何,古省文也。

음가나 사각호마로 검색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한자라면 부수 또는 파자로 찾을 것을 권장합니다.
[부수로 찾기] 부수와 나머지 획수를 고르세요.
[파자로 찾기] 파자(破字)로 찾으려면, 한자 구성요소(모양자)를 띄어쓰기 없이 아래에 적으세요. 비슷하지만 다른 문자가 많으니, 되도록이면 완성된 한자를 검색하세요. 예) 1. 人과 亻은 다른 문자임. 2. 蒐를 찾을 때 艹가 아닌 鬼를 입력
[검색용 글꼴] ⺆ ⺈ ㇉ 𧾷
1 丿 2 3 广 4 5 6 7 8 9 10 11 鹿 12 13+ 齿 지우기

한자가 깨져 보일 때 : 나눔한자왕 설치

처음으로

누군가가 씀 [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.] ☞ 덧글
사람 인증
암호